웹 이란?
웹이란 월드와이드 웹(World Wide Web)의 줄임말로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공간을 뜻한다. 그리고 이 웹을 발전 과정을 설명할 때 웹 1.0과 웹 2.0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웹 3.0은 최근 사람들이 웹 1.0과 웹 2.0을 넘어 시멘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의 시대가 올 것이라고 주장하며 떠오르는 단어이다.
웹 1.0
웹 1.0은 초기의 웹의 형태이다. 기본적인 기능인 디렉터리 검색이며, 모든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사용자들이 분류된 카테고리를 통해 디렉터리 검색을 했다. 초기의 웹의 형태이기 때문에 단순히 HTML을 사용하여 정적인 페이지를 사용 하였고 작은 범위의 대역을 가졌다. 단순히 사이트 운영자가 제공하는 정보를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수준에 그쳤다.
웹 2.0
2003년 오라일리미디어와 미디어 라이브 간의 회의 중 처음으로 제기된 개념이다. 단순한 정보를 제공했던 웹 1.0과 달리 사용자들이 데이터의 소유나 독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인터넷에서 공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참여 중심의 웹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JAX, XML 등 동적인 웹페이지를 만듦으로써 보다 고퀄리티의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게 되었고 O/S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구현이 가능해졌다.
웹 3.0
웹 3.0은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최근 4차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AR/VR과 같은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면서 이를 웹 환경에 적용한 웹 3.0의 시대가 올 것이라는 많은 사람들이 주장이 있다. 웹 3.0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NFT, 디파이 같은 여러 디앱들이 나타나 개인화된, 탈중앙화 된 웹을 이루고 VR/AR을 활용하여 웹이 메타버스화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웹 3.0 사례
- SNS 분야
1) 스팀잇(Steemit)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이며 자신이 제작한 콘텐츠를 블록체인 상에 올릴 수 있다. 독자들이 콘텐츠를 보고 마음에 들면 업 보트(upvote)를 누르는데, 업 보트가 많을수록 더 많은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받는다.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받는 블록체인 수익모델이다. 기존에 광고로 수익을 올리던 SNS와 달리 콘텐츠 자체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며 지급하는 가상화폐는 스팀(Steam), 스팀 파워(Steem Power), 스팀 달러(Steem Dollars)이다.
2) Status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메신저 플랫폼이며 중앙 집중형인 카카오톡과 라인같이 메시지 데이터를 받아 전달해주는 방식과 달리 P2P 방식으로 메시지가 전달되기 때문에 제3자로부터 메시지를 보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암호화폐 지갑 기능이 있어서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 금융분야
1) BANKERA
블록체인을 위한 은행 설립을 목표로 하며 기존 은행의 수수료나 보안 문제점을 가상화폐를 통해 해결하고 은행이라는 중개자 없이 P2P 방식으로 송금을 하고 중개자의 인증 없이 블록체인으로 개인의 신분을 인증한다는 특징이 있다.
- 미디어 분야
1) 쎄타 렙스(Theta Labs)
블록체인 기반의 동영상 플랫폼이며 투명성이 보장되는 효율적인 동영상 플랫폼과 기존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전산망 부족 현상 및 구축 비용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발행하는 암호화폐는 세타 토큰과 세타 퓨엘이 있다.
2) 뮤지카(Muzika)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음악 콘텐츠 유통을 목표로 하는 플랫폼이다. 기존의 음악 유통이 대형 스트리밍 서비스 기업의 주도하에 이루어졌다는 것과 달리 음악가뿐만이 아닌 일반인들도 음악의 생산부터 이익분배까지의 전 과정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플랫폼이다.
이외에도 수많은 블록체인 기반 웹 3.0 플랫폼들이 생겨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상용하기에는 규제와 인식으로 인하여 사용자 수가 매우 적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데이터와 개인정보를 제 3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개인화된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는 웹 3.0이 점차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IT관련 정보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Klaytn] Klaytn Wallet 주소생성 및 Klaytn IDE 연동 (0) | 2022.01.13 |
---|---|
디파이(De-Fi) 개념과 종류 (0) | 2021.11.26 |
[IT 정보]블록체인의 개념과 활용 사례(비트코인,이더리움, 디파이, NFT) (0) | 2021.11.25 |
NFT 개념과 전망 (0) | 2021.04.05 |